공부한것들을 정리하는 블로그 입니다.
서킷브레이커 CircuitBreaker 본문
반응형
https://velog.io/@hgs-study/CircuitBreaker
CircuitBreaker를 이용한 외부 API 장애 관리
CircuitBreaker는 서비스메시의 쿠버네티스 Istio를 이용해서 인프라 레벨에서 적용가능하나, 이번 포스팅에선 Resilience4j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적용하겠습니다. 1. CircuitBreaker가 필요한 이
velog.io
반응형
'CS 운영체제 네트워크 등 >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타임아웃(Timeout) 정리 (0) | 2022.12.01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 정규화 ( Normalization ) (0) | 2022.08.25 |
쿠키 vs 세션 (0) | 2022.08.25 |
웹서비스 / SOAP, WSDL, UDDI (0) | 2022.08.18 |
SOAP vs REST 학습 (0) | 2022.08.17 |
그래프와 트리의 정의 및 차이점 (0) | 2022.05.19 |
Timeout : Connection Timeout / Socket Timeout / Read Timeout (0) | 2022.05.18 |
자료구조와 알고리즘 (0) | 2022.05.18 |
Comments